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jupyter notebook
- pandas
- 동적 계획법
- utm parameter
- seaborn
- 렉시컬 스코프
- nextjs
- function barrowing
- 개방 시스템 상호 연결
- 함수 빌려쓰기
- 백준
- ES6
- Java
- partial application
- jupyter extension
- Priority Queue
- script tag
- 사용자 속성
- 결측치 제거
- TDZ
- jupyter
- 배낭 문제
- yarn berry
- GA4
- javascript
- 결손치 제거
- Git Action
- dinamic programming
- git workflow
- 우선순위 큐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utm parameter (1)
FoO의 개발 블로그

극초기 스타텁 초기 멤버로 일하면서 벌써 4번째 랜딩 리뉴얼을 하고 있다. 첫 랜딩은 되는대로, 두번째도 되는대로, 세번째는 부스 직전에 3일만에 만들고 이번에는 개발하는데 일주일 정도 걸린 것 같다. 기존 랜딩페이지는 홈, 회사 소개, 제품 소개로 구성되어 있었고 이번에는 간결하게 원페이지에 제품 소개만 담는 방향으로 가기로 했다. 랜딩은 규모가 작아서 매번 다양한 UI 라이브러리를 써보고 있다. tailwindcss, chakra-ui를 거쳐 이번엔 panda css와 framer-motion의 조합으로 진행했다. 보통 Next.js를 기본으로 사용했는데 한번은 Svelt를 썼다가 팀원들의 항의에 다시 Next.js로 돌아왔다. 소기업에서 괜히 기술 스택 늘리지 맙시다. 개발이 끝났다면 이제 KP..
Programming/FE
2024. 6. 16. 16:53